찬송가 역사

(재)한국찬송가공회의 역사는 한국찬송가의 역사입니다.  


1. 1890년대 최초 한국찬송가: 찬미가(1892년, 증보1895년), 찬셩시(1893년), 찬양가(1894년)

1) 1892년 “찬미가”(27곡)-악보없는 가사로만 출판

: 감리교 조지 존스(George H. Jones)선교사와 루이스 로스와일러(Louisa C. Rothweiler)선교사 공동편집하여 출간함.

2)1893년 “찬셩시”(83곡)-최초로 공인된 장로교 찬송가, The Presbyterian Mission North출판

: 북장로교 그래함 리(Graham Lee)와 기포드(M.S. Gifford) 선교사 공동편집하여 출간함

3)1894년 “찬양가”(117곡)-한국최초의 악보찬송가집, 예수셩교당 출판

: 장로교 언더우드(Horace G. Underwood)선교사가 편집하여 출간함

4)1895년 “찬미가”(증보), The Korea Mission of the Methodist Episcopal Church출판 

: 감리교 조지 존스(George H. Jones)선교사와 아펜젤러(Henry G. Appenzeller)선교사 공동편집하여 출간함

2. 1900년대 한국찬송가: 찬숑가(1908년), 부흥성가(1930년), 신정찬송가(1931년), 신편찬송가(1935년)

1)1908년 “찬숑가”(266곡)-한국 최초의 장로교와 감리교 연합찬송가집, 조선예수교서회 출판

:찬송가위원회가 구성되어 베어드(W.M.Baird)선교사, 밀러(F.S.Miller)선교사, 벙커(D.A. Bunker)선교사의  공동편집 작업을 거쳐 조선예수교서회에서 발행하였다. 


2)1930년 “부흥성가”(242곡), 동양선교회성결교회출판부 출판

: Haines, P.E.선교사가 1911년 편찬된 “복음가”(160곡)와 1919년 편찬된 “신정복음가”(210곡)을 참조하여 “부흥성가”(242곡)을 발행하였다. 



3)1931년 “신뎡찬송가”(314곡), 조선예수교서회 출판

:Appenzeller선교사가 “찬숑가”(266곡)에서 50% 채택하고, “청년찬송가”에서 70여편 채택하였으며 최종개정작업에 한국인목사인 김인식목사, 변선옥목사가 참여하였다. 감리교와 장로교 연합공의회에서 1924년부터 7년간 공동제작하였으나 장로교는 총회에서 사용하지 않기로 함에 따라 감리교만 사용하였다. 


4)1935년 “신편찬숑가”(400곡)-조선예수교장로회총회종교교육부 출판

: “찬숑가”(1908년), “신정찬송가”(1931년), “부흥성가”(1930)에서 선별하여 발췌편집하여 출간함


3. 1950년대 한국찬송가: “합동찬송가”(1949년), “새찬송가”(1962년), “개편찬송가”(1967년)

1)1949년 “합동찬송가”(586곡)

: 찬송가 합동위원회 발행. 장로교,감리교,성결교 세 교파의 찬송가를 하나로 통일시킴.


2)1962년 “새찬송가”(671곡)

-새찬송가 편찬위원회 발행. 장로교 합동측과 장로교 고려파 총회가 공동편집

-1945년 광복후 장로교·감리교·성결교 등 3대 교단은 다시 찬송가의 합동을 결의, 1948년 “합동 찬송가”를 발행하였으나 장로교 일부에서 그 사용을 거부하고 계속 “신편찬송가”만을 써오다가 마침내 1962년 “새찬송가” 발행


3)1967년 “개편찬송가”(600곡)

:한국찬송가위원회 발행. 기감,기성,예장(통합),기장 총회가 참여함. 한국인 작사,작곡 찬송가가 대폭 보강됨.


4. 1983년 11월 20일 “통일찬송가”(558곡)출간

-“합동찬송가”(1949년), “새찬송가”(1962년), “개편찬송가”(1967년) 세 편의 찬송가에서 추출하여 “통일찬송가” 558곡 편집함

-한국찬송가공회(한국찬송가위원회와 새찬송가편찬위원회가 연합해 탄생한 기관임) 발행. 기존의 합동찬송가(1949)와 새찬송가(1962),개편찬송가(1967)를 하나로 통일시킴.

-1974년 특별위원회구성하여 통일찬송가 편집작업시작

-1976년 ‘찬송가통일위원회’에서 개편, 합동, 새찬송가를 하나로 묶어 편찬하는 3개항의 원칙 논의함

-1981년 4월9일  “한국찬송가공회” 조직을 위한 창립총회에서 통일 찬송가 편찬원칙 합의

5. 2006년 11월 15일 “21세기 새찬송가”(645곡)출간

-전체 645곡중 한국인 작곡,작사 곡이 126곡으로 대폭 보강됨

-200여명의 전문가들이 한국인의 작품 6,000여곡 포함 세계 각국의 2만5,000여곡을 심사편찬함
-통일찬송가 77곡 삭제하고 164곡 추가해 645장으로 증편

-한국인 작품 128곡으로 증편함

-9개국의 외국곡을 20개 이상의 다양한 국가로 확대 함

-난해한 단어를 맟춤법에 맞게 수정하고 부르기 쉬운 조성 사용함 

-교독문을 76편에서 137편으로 늘리고 절기와 예식곡 추가함

6. 2008년 4월23일 충남도청에 재단법인 한국찬송가공회로 정식등록함

구공회로부터 찬송가(통일찬송가558곡, 21세기 새찬송가645곡)의 저작권 일체 승계받음

7. 2016년 2월 교단간의 합의를 통해 재단법인 한국찬송가공회의 공교회성 확립

-2016년 2월 교단간의 합의를 통해 재단법인 한국찬송가공회의 공교회성을 확인함

-찬송가의 출간과 보급 그리고 찬송가 연구개발 및 저작권 관리등 공회 업무 정상화함

8. 2018년 7월1일 “21세기 새찬송가” 3곡 수정 발행

-21세기 새찬송가 11장, 61장, 194장 수정 발행